[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10-3] 덕은 근본이고 재물은 말단이다 / 덕자본야 재자말야(德者本也 財者末也)
德者, 本也; 財者, 末也.(덕자본야 재자말야) 덕은(德者), 근본이고(本也); 재물은(財者), 말단이다(末也). 本上文而言. 윗글에 근본을 두고(本上文而) 말했다(言). 外本內末, 爭民施奪.(외본내말 쟁민시탈) 근본을 바깥으로 여기고(外本) 말단을 안으로 여기면(內末), 백성을 다투게 하여(爭民) 빼앗는 것을 시행하게 한다(施奪). 人君以德爲外, 以財爲內, 則是爭鬪其民, 而施之以劫奪之敎也. 蓋財者人之所同欲, 不能絜矩而欲專之, 則民亦起而爭奪矣. 임금이(人君) 덕을(以德) 바깥으로 여기고(爲外), 재물을(以財) 안으로 여기면(爲內, 則) 이것은(是) 그 백성들을 싸우게 하여(爭鬪其民, 而) 그들에게(之) 빼앗는 가르침을(以劫奪之敎) 베푸는 것이다(施也). 대체로(蓋) 재물은(財者) 사람이(人之) 똑같이 원..
2024. 2. 11.
[효경주소(孝經注疏) 삼재장(三才章) (3/3)] 백성들이 모두 너를 우러러본다 / 민구이첨(民具爾瞻)
《詩》云: '赫赫師尹, 民具爾瞻.'"(혁혁윤사 민구이첨) 《赫赫, 明盛貌也. 尹氏爲太師, 周之三公也. 義取大臣助君行化, 人皆瞻之也.》 시에 이르길(《詩》云): '빛나는 윤사여(赫赫師尹), 백성들이(民) 모두(具) 너를 우러러본다(爾瞻).'"라고 했다. 《혁혁은(赫赫), 밝고 성한 모습이다(明盛貌也). 윤씨는(尹氏) 태사이고(爲太師), 주나라의(周之) 삼공이다(三公也). 뜻은(義) 대신이(大臣) 임금을 도와(助君) 교화를 행하니(行化), 사람들이 모두(人皆) 그를 바라본다는 것을(瞻之) 취한다(取也).》 【疏】詩云至爾瞻. ○正義曰: 夫子既述先王以身率下, 先及大臣助君行化之義畢, 乃引《小雅·節南山》詩以證成之. 赫赫, 明盛之貌也, 是太師尹氏也. 言助君行化, 爲人模範, 故人皆瞻之. 【疏】詩云至爾瞻. ○正義曰: 부..
2024. 2. 10.
[효경주소(孝經注疏) 삼재장(三才章) (2/3)] 사랑으로 가르치면 백성이 교화된다 / 교지가이화민(敎之可以化民)
先王見敎之可以化民也(선왕견교지가이화민야). 《見因天地敎化, 民之易也.》 是故先之以博愛, 而民莫遺其親(시고선지이박애 이민막유기친). 《君愛其親, 則人化之, 無有遺其親者.》 陳之於德義, 而民興行(진지어덕의 이민흥행). 《陳說德義之美, 爲衆所慕, 則人起心而行之.》 先之以敬讓, 而民不爭(선지이경양 이민부쟁). 《君行敬讓, 則人化而不爭.》 導之以禮樂, 而民和睦. 禮以檢其跡, 樂以正其心, 則和睦矣.》 示之以好惡, 而民知禁(시지이호오 이민지금). 《示好以引之, 示惡以止之, 則人知有禁令, 不敢犯也.》 선왕이(先王) 가르침이 백성을 교화시킬 수 있음을(敎之可以化民也) 보았다(見). 《하늘과 땅의 교화로 인해(因天地敎化), 백성이 바뀌는 것을(民之易) 보았다(見也).》 이 때문에(是故) 선왕이(先之) 넓은 사랑을 쓰니(以..
2024. 2. 10.
[효경주소(孝經注疏) 삼재장(三才章) (1/3)] 하늘의 법칙, 땅의 이로움, 사람이 행해야 할 것
【疏】正義曰: 天地謂之二儀, 兼人謂之三才. 曾子見夫子陳說五等之孝旣畢, 乃發歎曰: "甚哉! 孝之大也." 夫子因其歎美, 乃爲說天經·地義·人行之事, 可敎化於人, 故以名章, 次五孝之後. 【疏】正義曰: 천지를(天地) 음양이라 하고(謂之二儀), 사람을 포함해서(兼人) 삼재라고 한다(謂之三才). 증자는(曾子) 부자가(夫子) 다섯 등급의 효를 말하기를(陳說五等之孝) 모두 마치는 것을(旣畢) 보고서(見), 이에(乃) 탄식하며 말하길(發歎曰): "깊구나(甚哉)! 효의 위대함이여(孝之大也)."라고 했다. 부자가(夫子) 그 감탄하는 것을(其歎美) 이어서(因), 이에(乃) 하늘의 법칙(天經), 땅의 뜻(地義) 사람이 행하는 일로(人行之事), 사람을 교화할 수 있음을(可敎化於人) 말했고(爲說), 그러므로(故) 이것으로 장의 이름..
2024. 2. 10.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9-2] 지도자가 욕심을 부리면 나라가 어지러워진다 / 일인탐려 일국작란(一人貪戾 一國作亂)
一家仁, 一國興仁(일가인 일국흥인); 一家讓, 一國興讓(일가양 일국흥양); 一人貪戾, 一國作亂.(일인탐려 일국작란) 한 집안이(一家) 인하면(仁), 한 나라가(一國) 인을 일으키고(興仁); 한 집안이(一家) 사양하면(讓), 한 나라가(一國) 사양하는 일으키고(興讓); 한 사람이(一人) 탐욕을 부려 바르길에서 벗어나면(貪戾), 한 나라가(一國) 어지러워진다(作亂). * 貪戾(탐려): 욕심(慾心)이 많아 바른길(정도(正道))에서 벗어남. 一人謂君也. 한 사람은(一人) 임금을 말한다(謂君也). 其幾如此, 此謂一言僨事, 一人定國.(기기여차 차위일언분사 일인정국) 그 기틀이(其幾) 이와 같으니(如此), 이것을(此) 한마디 말이 일을 그르치고(一言僨事),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는(一人定國) 말이다(謂). * ..
2024.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