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80

[공자가어(孔子家語) 유행해(儒行解) 5-1] 각보구전(却步求前) / 뒷걸음 치면서 앞 사람을 따라 잡으려고 하다 1 孔子在衛. 冉求言於季孫曰: "國有聖人, 而不能用, 欲以求治, 是猶卻步而欲求及前人, 不可得已. 今孔子在衛, 將用之. 己有才而以資鄰國, 難以言智也. 請以重幣延之." 季孫以告哀公, 公從之. 孔子既至, 舍哀公館焉. 公自阼階, 孔子賓階, 升堂立侍.  1 공자가(孔子) 위나라에 있었다(在衛). 염구가(冉求) 계손에게 말하길(言於季孫曰): "나라에(國) 성인이 있는데도(有聖人, 而) 쓸 수 없으면서도(不能用), 그것으로(以) 다스려지기를 바라고 있으니(欲求治), 이것은(是) 물러나면서(卻步而) 앞사람에게 이기를 바라는 것과(欲求及前人) 같고(猶), 될 수 없는 일입니다(不可得已). 지금(今) 공자가 위나라에 있고(孔子在衛), 장차 등용하려고 합니다(將用之). 나에게(己) 인재가 있는데(有才而) 그것으로(以) 이웃.. 2024. 5.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10] 중도이폐 금여획(中道而廢 今女畫) / 할 수 없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 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염구왈 비불열자지도 역부족야)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자왈 역부족자 중도이폐 금여획)염구가 말하길(冉求曰): “선생님의 도를(子之道) 좋아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非不說), 힘이 충분하지 않습니다(力不足也).”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子曰): “힘이 부족한 사람은(力不足者), 중간에(中道而) 그만둔다(廢). 지금(今) 너는 선을 긋고 있다(女畫).”라고 했다. ○ 力不足者, 欲進而不能. 畫者, 能進而不欲. 謂之畫者, 如畫地以自限也. ○ 역부족이란(力不足者), 나아가려고 하지만(欲進而) 할 수 없는 것이다(不能). 획이란(畫者), 나아갈 수 있지만(能進而) 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不欲). 이것을 획이라고 말한 것은(謂之畫者), 마치(如) 땅에 금을 긋..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4] 감문성신(敢問成身) / 자신을 잘 이루는 방법 9 公曰: "敢問何謂能成身?" 孔子對曰: "夫其行己不過乎物, 謂之成身; 不過乎物, 合天道也."  9 애공이 말하길(公曰): "감히 묻건대(敢問) 몸을 잘 이루는 것을(能成身) 무엇이라고 말합니까(何謂)." 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무릇(夫) 그 자기를 행하는 것이(其行己) 외물을 넘어서지 말아야 하니(不過乎物), 이것을 성신이라고 하고(謂之成身); 외물을 넘어서지 않는 것은(不過乎物), 천도에 적합한 것입니다(合天道也)."라고 했다.   10 公曰: "君子何貴乎天道也?" 孔子曰: "貴其不已也。如日月東西相從而不已也, 是天道也; 不閉而能久, 是天道也; 無為而物成, 是天道也; 已成而明之, 是天道也."  10 애공이 말하길(公曰): "군자는(君子) 어찌(何) 천도를 귀하게 여깁니까(貴乎天道也)?"라고 했..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3] 감문경신(敢問敬身) / 자신을 공경할 줄 알아야 한다 7 公曰: "敢問何謂敬身?" 孔子對曰: "君子過言則民作辭, 過行則民作則; 言不過辭, 動不過則, 百姓恭敬以從命. 若是, 則可謂能敬其身, 敬其身, 則能成其親矣." 7 애공이 말하길(公曰): "감히(敢) 자신을 공경하는 것은(敬身) 무엇을 말하는지 묻습니다(問何謂)"라고 했다.공자가 대답하길(孔子對曰): "군자가(君子) 말을 잘못하면(過言則) 백성이 본받을 말로 삼고(民作辭), 행동을 잘못하면(過行則) 백성이 법칙으로 삼으니(民作則); 말이(言) 사를 넘지 않고(不過辭), 행동이(動) 법칙을 넘지 않으면(不過則), 백성이(百姓) 공경하여(恭敬以) 명을 따를 것입니다(從命). 이와 같다면(若是, 則) 자신을 공경한다고 말할 수 있고(可謂能敬其身), 자신을 공경하면(敬其身, 則) 그 어버이의 이룰 수 있습니다(.. 2024. 5.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9] 단사표음(簞食瓢飮) / 단표누항(簞瓢陋巷) / 공자와 안자의 즐거움 子曰: “賢哉, 回也!(현재 회야)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일단사 일표음 재누항)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인불감기우 회야불개기락) 賢哉, 回也!”(현재 회야)子曰: “현명하구나(賢哉), 안회는(回也)! 한 바구니 밥을 먹고(一簞食), 한 표주박 물을 마시고(一瓢飮), 누추하고 좁은 골목에 있다(在陋巷). 사람들은(人) 그 걱정을 견디지 못하는데(不堪其憂), 안회는(回也)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다(不改其樂). 현명하구나(賢哉), 안회는(回也)!” * 陋巷(누항): 누추(陋醜)하고 좁은 마을.  ○ 簞, 竹器. 食, 飯也. 瓢, 瓠也. 顔子之貧如此, 而處之泰然, 不以害其樂, 故夫子再言“賢哉回也” 以深歎美之. ○ 단은(簞), 대나무 그릇이다(竹器). 사는(食), 밥이다(飯也). 표는(瓢), 표주박이다..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2] 종묘사직지주(宗廟社稷之主) / 친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5 公曰: "寡人願有言也, 然冕而親迎, 不已重乎?" 孔子愀然作色而對曰: "合二姓之好, 以繼先聖之後, 以為天下宗廟社稷之主, 君何謂已重乎?"  5 애공이 말하길(公曰): "과인이 원컨대(寡人願) 말할 것이 있는데(有言也), 그러나(然) 예복을 입고 관을 쓰고(冕而) 직접 맞이하는 것을(親迎), 너무 중요하게 여긴 것이 아닌가요(不已重乎)?"라고 했다.공자가(孔子) 정색을 하고(愀然) 얼굴빛을 드러내며 말하길(作色而對曰): "두 성씨의 좋아함이 합해서(合二姓之好, 以) 선왕의 뒤를 이어서(繼先聖之後), 천하 종묘사직의 주인이 되는 것인데(以為天下宗廟社稷之主), 임금께서(君) 어찌(何) 너무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씀하십니까(謂已重乎)?"라고 했다.   * 愀然(초연): 정색(正色)을 하여 얼굴에 엄정(嚴正)한 빛.. 2024. 5.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8] 사인야이유사질야(斯人也而有斯疾也) / 이런 사람에게 이런 병이 있다니! 伯牛有疾, 子問之,(백우유질 자문지)백우에게(伯牛) 병이 있어(有疾), 선생님이 문병을 갔는데(子問之), 伯牛, 孔子弟子, 姓冉, 名耕. 有疾, 先儒以爲癩也.백우는(伯牛),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성은 염이고(姓冉), 이름은 경이다(名耕). 유질은(有疾), 선유들이(先儒) 나병이라고 여겼다(以爲癩也). 自牖執其手, 曰: “亡之, 命矣夫!(자유집기수 왈 망지 명의부) 斯人也而有斯疾也! 斯人也而有斯疾也!”(사인야이유사질야 사인야이유사질야)창문으로(自牖) 그의 손을 잡고(執其手), 말하길(曰): “없어야 하는데(亡之), 천명이로구나(命矣夫)! 이런 사람이(斯人也而) 이런 병이 있다니(有斯疾也)! 이런 사람이(斯人也而) 이런 병이 있다니(有斯疾也)!”라고 했다. * 自牖(자유): 自는 기점을 나타내며 '∼로.. 2024. 5.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7] 오필재문상의(吾必在汶上矣) / 다시 부른다면 나는 제나라에 있을 것이다 季氏使閔子騫爲費宰.(계씨사민자건위비재)계씨가(季氏) 민자건으로 하여금(使閔子騫) 계씨의 재가 되도록 했다(爲費宰). * 費宰(비재): 비費는 지명으로 지금의 산동성 費縣(비현)이다. 계씨는 노나라의 권력가로 그 기반이 비읍에 있었다.  ○ 閔子騫, 孔子弟子, 名損. 費, 季氏邑.○ 민자건은(閔子騫),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이름은 손이다(名損). 비는(費), 계씨의 읍이다(季氏邑). 閔子騫曰: “善爲我辭焉.(민자건왈 선위아사언) 如有復我者, 則吾必在汶上矣.”(여유복아자 즉오필재문상의)민자건이 말하길(閔子騫曰): “나를 위해(爲我) 잘 말해주시오(善辭焉). 만약(如) 다시 나를 부르는 일이 있다면(有復我者, 則) 나는(吾) 반드시(必) 문수 가에 있을 것입니다(在汶上矣).”라고 했다. * 汶上(문상): .. 2024. 5. 27.
[공자가어(孔子家語) 대혼해(大婚解) 4-1] 인도정위대(人道政爲大) / 사람의 도는 정치가 가장 중요하다 1 孔子侍坐於哀公. 公曰: "敢問人道孰爲大?" 孔子愀然作色而對曰: "君之及此言也, 百姓之惠也, 固臣敢無辭而對? 人道政爲大.  1 공자가(孔子) 애공을 모시고 있었다(侍坐於哀公). 공이 말하길(公曰): "감히(敢) 인도에서(人道)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를(孰爲大) 묻습니다(問)?"라고 했다.공자가(孔子) 엄숙하게(愀然) 얼굴빛을 만들고(作色而) 대답하기를(對曰): "임금이(君之) 이런 말에 이르렀으니(及此言也), 백성의 은혜이고(百姓之惠也), 참으로(固) 신이 감히(臣敢) 말하여 대답할 것이 없습니다(無辭而對). 인도는(人道) 정치가 가장 중요합니다(政爲大).   * 愀然(초연): 얼굴에 근심스러운 빛이 있음, 정색(正色)을 하여 얼굴에 엄정(嚴正)한 빛이 있음. 2 夫政者、正也. 君爲正, 則百姓從而正矣... 2024. 5. 27.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6] 유야과 사야달 구야예(由也果 賜也達 求也藝) / 자로와 자공, 염구의 능력치 季康子問: “仲由可使從政也與?”(계강자문 중유가사종정야여) 子曰: “由也果, 於從政乎何有?”(자왈 유야과 어종정호하유)계강자가 묻기를(季康子問): “중유(자로)는(仲由) 정치에 종사하게 할 만한가요(可使從政也與)?”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子曰): “유는 과단성이 있으니(由也果), 정치에 종사하는 것에(於從政乎)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何有)?”라고 했다. * 何有(하유): 하난지유(何難之有)의 준말로,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라는 말이다. ○ 從政, 謂爲大夫. 果, 有決斷. ○ 종정은(從政), 대부가 되는 것을 말한다(謂爲大夫). 과는(果), 결단력이 있는 것이다(有決斷). 曰: “賜也, 可使從政也與?”(왈 사야 가사종정야여) 曰: “賜也達, 於從政乎何有?”(왈 사야달 어종정호하유) 말하길(曰): .. 2024. 5. 26.
[논어집주(論語集注) 옹야(雍也) 6-5] 삼월불위인(三月不違仁) / 안회는 3개월 동안 인을 어기지 않았다 子曰: “回也, 其心三月不違仁,(회야 기심삼월불위인)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기여즉일월지언이이의) 子曰: “안회는(回也), 그 마음이(其心) 3개월 동안(三月) 인을 어기지 않았지만(不違仁), 그 나머지는(其餘則) 하루나 한돌에 이르렀을 뿐이다(日月至焉而已矣).” 三月, 言其久. 仁者, 心之德. 心不違仁者, 無私欲而有其德也. 日月至焉者, 或日一至焉, 或月一至焉, 能造其域而不能久也.삼월은(三月), 길다는 것을 말한다(言其久). 인이란(仁者), 마음의 덕이다(心之德). 마음이(心) 인을 어기지 않는 것은(不違仁者), 사욕이 없고(無私欲而) 그 덕이 있는 것이다(有其德也). 일월지언이란(日月至焉者), 혹(或) 하루에 한 번(日一) 거기에 이르거나(至焉), 혹(或) 한 달에 한 번(月一) 거기에 이르는 것이니(.. 2024. 5. 26.
[공자가어(孔子家語) 왕언해(王言解) 3-4] 하위삼지(何謂三至) / 공자가 삼지의 도를 말하다 8 曾子曰: "敢問何謂三至?" 孔子曰: "至禮不讓而天下治; 至賞不費而天下士說; 至樂無聲而天下民和. 明王篤行三至, 故天下之君可得而知, 天下之士可得而臣, 天下之民可得而用."  8 증자가 말하길(曾子曰): "감히(敢) 삼지가 무엇을 말하는지 묻습니다(問何謂三至)?"라고 했다.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지극 예는(至禮) 양보하지 않더라도(不讓而) 천하가 다스려지고(天下治); 지극한 상은(至賞) 상을 내리지 않아도(不費而) 천하의 선비가 기뻐하고(天下士說); 지극한 음악에는(至樂) 소리가 없더라도(無聲而) 천하의 백성이 조화된다(天下民和). 명왕은(明王) 삼지를 돈독하게 행하고(篤行三至), 그러므로(故) 천하의 임금이(天下之君) 알 수 있고(可得而知), 천하의 선비가(天下之士) 신하가 되고(可得而臣), 천하의 백.. 2024.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