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서(五書) 읽기/소학집주(小學集註)62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1-6] 부모를 모실 때는 얼굴빛이 중요하다 / 필유완용(必有婉容) 禮記曰, 孝子之有深愛者, 必有和氣.(예기왈 효자지유심애자 필유화기) 有和氣者, 必有愉色.(유화기자 필유유색) 有愉色者, 必有婉容.(유유색자 필유완용) 孝子如執玉, 如奉盈,(효자여집옥 여봉영) 洞洞屬屬然, 如弗勝, 如將失之.(동동촉촉연 여불승 여장실지) 嚴威儼恪, 非所以事親也.(엄위엄각 비소이사친야) 예기에 이르길(禮記曰), 효자에게(孝子之) 깊은 사랑이 있는 사람이면(有深愛者), 반드시(必) 온화한 기운이 있다(有和氣). 온화한 기운이 있는 사람이면(有和氣者), 반드시(必) 기쁜 기색이 있다(有愉色). 기쁜 기색이 있는 사람이면(有愉色者), 반드시(必) 온순한 용모가 있다(有婉容). 효자는(孝子) 옥을 잡은 것처럼(如執玉), 가득 찬 것을 받드는 것처럼(如奉盈), 성실하고 한결같은 모습으로(洞洞屬屬然),.. 2024. 4. 6.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5] 부모를 모시는 자식의 도리 / 혼정신성(昏定晨省)과 출필고반필면(出必告 反必面) 曲禮曰, 凡爲人子之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곡례왈 범인지자지례 동온이하청 혼정이신성) 곡례에 이르길(曲禮曰), 무릇(凡) 자식 된 사람은 예는(爲人子之禮), 겨울에는(冬) 따뜻하게 하고(溫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고(夏凊), 밤에는 정돈하고(昏定而) 새벽에는 살피고(晨省), * 昏定晨省(혼정신성): ‘밤에는 부모(父母)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父母)의 밤새 안부(安否)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고 효성(孝誠)을 다함을 이르는 말. [集說] 陳氏曰溫以禦其寒, 凊以致其凉, 定其袵席, 省其安否.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따뜻한 것으로(溫以) 그 추위를 막고(禦其寒), 차가운 것으로(凊以) 그 시원함에 이르게 하고(致其凉), 그 이부자리를 정돈하고(定其袵席),.. 2024. 4. 3.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4] 부모가 계실 때는 행동과 소리를 조심한다 在父母舅姑之所, 有命之, 應唯敬對.(재부모고구지소 유명지 응유경대) 進退周旋, 愼齊. 升降出入, 揖遊.(진퇴주선 신제 승강출입 읍유) 不敢噦噫嚔咳欠伸跛倚睇視.(불감홰희체해흠신파기제시) 不敢唾洟.(불감타이) 부모와 시부모가 계신(在父母舅姑之) 곳에서(所), 명이 있으면(有命之), 빨리 응하고(應唯) 공손히 대답한다(敬對). 나아가고 물러나며(進退) 몸을 돌릴 때(周旋), 삼가고 엄숙히 한다(愼齊). 오르고 내리며(升降) 나가고 들어올 때는(出入), 몸을 숙이고 편다(揖遊). 감히(敢) 구역질하고(噦), 트림하고(噫) 재채기하고(嚔) 기침하고(咳) 하품하고(欠) 기지개 켜고(伸) 삐딱하게 서고(跛) 기대고(倚) 곁눈질하지 않는다(不睇視). 不敢唾洟. [集說] 陳氏曰應唯, 應以速也, 敬對, 對以敬也. 周旋, .. 2024. 4. 2.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3] 부모의 일상 생활을 모시는 예절 父母舅姑將坐, 奉席請何鄕.(부모고구 장좌 봉석청하향) 將衽, 長者奉席請何趾, 少者執牀與坐.(장임 장자봉석청하지 소자집상여좌) 御者擧几, 斂席與簟.(어자거범 렴석여점) 縣衾篋枕, 斂簟而襡之.(현금협침 렴점이촉지) 부모와 시부모가(父母舅姑), 앉으려고 하면(將坐), 자리를 받들고(奉席) 어느 쪽으로 할지 묻는다(請何鄕). 장차 누우려고 하면(將衽), 연장자가(長者) 자리를 들고(奉席) 발을 어느 쪽으로 할지 묻고(請何趾), 연소자가(少者) 평상을 잡고(執牀) 함께 앉는다(與坐). 모시는 사람은(御者) 안석을 들고(擧几), 돗자리와 대자리를 걷고(斂席與簟). 이불을 개어 올리고(縣衾) 베개를 넣고(篋枕), 대자리를 걷어(斂簟而) 간직한다(襡之). [集說] 陳氏曰將坐, 朝起時也, 奉坐席, 而鋪者必問何向. 衽, .. 2024. 4. 1.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2] 안팎의 일하는 사람의 하루 / 각종기사(各從其事) 凡內外鷄初鳴, 咸盥漱, 衣服.(범내외계초명 함관수 의복) 斂枕簟, 灑掃室堂及庭, 布席,(렴침점 소쇄실당급정 포석) 各從其事.(각종직사) 무릇(凡) 안팎에서(內外) 닭이 처음 울면(鷄初鳴), 모두(咸) 세수하고 양치질하고(盥漱), 옷을 입는다(衣服). 잠자리를 정돈하고(斂枕簟), 방과 당, 뜰에 물 뿌리고 쓸며(灑掃室堂及庭), 자리를 펴고(布席), 각자(各) 자기 일에 종사한다(從其事). * 盥漱(관수): 盥漱, [集說] 陳氏曰此亦內則之文而不言者, 蒙上章也, 他皆倣此. 斂, 收也, 斂枕簟者, 枕席之具, 夜則設之, 曉則斂之, 不以私褻之用示人也. 布, 設也, 席, 坐席. 各從其事, 若女服事于內, 男服事于外是矣. [集解] 此言內外婢僕也. [集說] 진씨가 말하길(陳氏曰) 이것도(此) 또한(亦) 내칙의 글인데(內則.. 2024. 3. 31.
[소학집주(小學集註) 명륜(明倫) 명부자(明父子) 2-1] 자식이 부모를 모시는 방법 / 계초명 함관수(鷄初鳴 咸盥漱) 『內則』曰: “子事父母, 鷄初鳴, 咸盥漱,(자사부모 계초명 함관수) 내칙에 이르길(『內則』曰): “자식이(子) 부모를 모실 때는(事父母), 닭이(鷄) 처음 울거든(初鳴), 모두(咸) 세수하고 양치질하고(盥漱), * 盥漱(관수): 양치질하고 세수(洗手)함. 司馬溫公曰: “孫事祖父母同.” 陳氏曰: “盥, 洗手也, 漱, 漱口也. 사마온공이 말하길(司馬溫公曰): “손자가(孫) 조부모를 모시는 때에도(事祖父母) 같다(同).”라고 했다. 陳氏曰: “관은(盥), 세수이고(洗手也), 수는(漱), 양치질이다(漱口也). 櫛縰笄總, 拂髦冠緌纓,(즐쇄계총 불모관유영) 머리 빗고(櫛) 머리쓰개를 쓰고(縰) 비녀 꽂고(笄) 머리를 묶고(總), 머리를 털고(拂髦) 갓끈을 드리우고(冠緌纓), 櫛, 梳也. 縰, 韜髮作䯻者, 黑繒爲之... 2024. 3. 30.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3] 배우지 않았더라도 배웠다고 말할 것이다 / 현현역색(賢賢易色) 子夏曰, 賢賢, 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자하왈 현현역색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위치기신 여붕우교 언이유신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자하가 말하길(子夏曰), 어진이를 어질게 대하는 것을(賢賢),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꿀 정도로 하고(易色), 부모를 모시는 것에(事父母), 그 힘을 다할 수 있고(能竭其力), 임금을 섬기는 것에(事君) 그 몸을 바칠 수 있고(能致其身), 벗과 사귀면서(與朋友交), 말에(言而) 믿음이 있으면(有信), 비록(雖) 배우지 않았더라도(曰未學), 나는(吾) 반드시(必) 배웠다고 말할 것이다(謂之學矣). [集解] 朱子曰子夏, 孔子弟子, 姓卜, 名商. 賢人之賢而易其好色之心, 好善有誠也. 致, 猶委也, 委致其身, 謂不有其身也. .. 2024. 3. 29.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2] 예악은 잠시라도 몸을 떠날 수 없다 / 예악불가거신(禮樂不可去身) 樂記曰, 禮樂不可斯須去身.(악기왈 예악불가사수거신) 악기에 이르길(樂記曰), 예악은(禮樂) 잠시라도(斯須) 몸을 떠날 수 없다(不可去身). [集說] 吳氏曰樂記, 禮記篇名. 斯須, 暫時也. 去, 離也. 眞氏曰古之君子以禮樂爲治身心之本. 故斯須不可去之. [集說] 오씨가 말하길(吳氏曰) 악기는(樂記), 예기 편명이다(禮記篇名). 사수는(斯須), 잠시다(暫時也). 거는(去), 떠남이다(離也). 진씨가 말하길(眞氏曰) 옛날 군자는(古之君子) 예악을(以禮樂)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治身心之) 근본으로 삼았다(爲本). 그러므로(故) 잠시도(斯須) 떠날 수 없다(不可去之). 2024. 3. 29.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1] 학문은 음악에서 완성된다 / 성어락(成於樂) 興於詩,(흥어시) 시에서 일으키고(興於詩), [增註] 此章之首, 當有孔子曰三字, 而略之者, 蒙上章也, 他皆倣此. [集解] 興, 起也. 詩本性情, 有邪有正, 其爲言, 旣易知, 而吟咏之間, 抑揚反覆, 其感人, 又易入. 故學者之初, 所以興起其好善惡惡之心而不能自已者, 必於此而得之. [增註] 이 장의 첫머리에는(此章之首), 마땅히(當) 공자왈 세 글자가 있어야 하지만(有孔子曰三字, 而) 생략한 것은(略之者), 윗장을 이어받았기 때문이고(蒙上章也), 다른 것도(他) 모두(皆) 이와 같다(倣此). [集解] 흥은(興), 일어남이다(起也). 시는(詩) 성정에 뿌리를 두고(本性情), 사악한 것도 있고(有邪) 바른 것도 있으니(有正), 그 말이(其爲言), 이미(旣) 알기 쉬워서(易知, 而) 읊조리는 사이에(吟咏之間), 누르.. 2024. 3. 29.
[소학집주(小學集註) 입교(立敎) 1-10] 젊은 사람이 지켜야 하는 도리 / 입즉효 출즉제(入則孝 出則弟) 孔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공자왈 제자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 이친인) 行有餘力, 則以學文.(행유여력 즉이학문) 공자가 말하길(孔子曰), 제자들은(弟子) 들어가면 효도하고(入則孝), 나가면 공손하고(出則弟), 삼가고 믿음을 주고(謹而信), 널리 여러 사람을 사랑하고((汎愛衆, 而) 인한 사람을 가까이 해라(親仁). 행하고도(行) 남은 힘이 있으면(有餘力, 則) 글을 배워라(以學文). [集解] 朱子曰謹者, 行之有常也, 信者, 言之有實也. 汎, 廣也. 衆, 謂衆人. 親, 近也. 仁, 謂仁者. 餘力, 猶言暇日. 以, 用也. 文, 謂時書六藝之文. 程子曰爲弟子之職, 力有餘則學文, 不修其職而先文, 非爲己之學也. [集解] 주자가 말하길(朱子曰) 근이란(謹者), 행실에(行之) 일정함이.. 2024.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