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5] 작은 것에 만족하지 말고 나아가라 / 여절여차 여탁여마(如切如磋 如琢如磨)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빈이무첨 부이무례 하여) 子貢曰: “가난하지만(貧而) 아첨하지 않고(無諂), 부유하지만(富而) 교만하지 않으면(無驕), 어떻습니까(何如)?”라고 했다. * 何如(하여): 어떤가. 의문문에서 대사 목적어가 동사 앞에 놓인 것으로 如何(여하)와 같다. ○ 諂, 卑屈也. 驕, 矜肆也. 常人溺於貧富之中, 而不知所以自守, 故必有二者之病. 無諂無驕, 則知自守矣, 而未能超乎貧富之外也. ○ 첨은(諂), 낮추고 굽히는 것이다(卑屈也). 교는(驕), 뽐내고 으스대는 것이다(矜肆也). 보통사람은(常人) 가난하고 부유한 가운데 빠지면(溺於貧富之中, 而) 자기를 지키는 법을 알지 못하고(不知所以自守), 그러므로(故) 반드시(必) 2가지 병이 있다(有二者之病). 아첨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
2024. 2. 26.
[중용장구(中庸章句) 택호중용장(擇乎中庸章) 8] 중용을 택해서 지키는 안회 / 권권복응(拳拳服膺)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 得一善, 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회지위인야 택호중용 득인선즉권권복응이불실지의) 子曰: “안회의(回之) 사람됨은(爲人也), 중용을 택해서(擇乎中庸), 하나라도 착한 것을 얻으면(得一善, 則) 받들어 가슴에 품고(拳拳服膺而) 그것을 잃지 않는다(弗失之矣).”라고 했다. * 拳拳: 참마음을 다하여 정성(精誠)스럽게 간직함. 또는 그 모양(模樣). 回, 孔子弟子顔淵名. 拳拳, 奉持之貌. 服, 猶著也. 膺, 胸也. 奉持而著之心胸之間, 言能守也. 회는(回), 공자 제자로(孔子弟子) 안연은 이름이다(顔淵名). 권권은(拳拳), 받들어 잡는 모습이다(奉持之貌). 복은(服), 붙이는 것과 같다(猶著也). 응은(膺), 가슴이다(胸也). 받들어 잡아서(奉持而) 마음과 가슴 사이에 붙이는 것은(..
2024. 2. 24.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4] 군자는 배부르고 편안하기를 구하지 않는다 / 식무구포(食無求飽)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鄭曰: "學者之志, 有所不暇."》 敏於事而慎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巳."(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孔曰: "敏, 疾也. 有道, 有道德者. 正, 謂問事是非."》 子曰: "군자는(君子) 먹는 것에서(食)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無求飽), 머무는 것에서(居) 편안함을 구하지 않고(無求安), 《鄭曰: "학자의 뜻은(學者之志), 겨를이 없는 것이 있다(有所不暇)."》 일에 민첩하고(敏於事而) 말에 신중하고(慎於言), 도덕이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就有道而) 바르게 하면(正焉),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할만하다(可謂好學也巳)." 《孔曰: "민은(敏), 빠름이다(疾也). 유도는(有道), 도덕이 있는 사람이다(有道德者). 정은(正), 일의 옳..
2024. 2. 24.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4]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자세 / 가위호학(可謂好學)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子曰: “군자는(君子) 먹는 것에서(食)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無求飽), 머무는 것에서(居) 편안함을 구하지 않고(無求安), 不求安飽者, 志有在而不暇及也. 편안함과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 사람은(不求安飽者), 뜻에(志) 있는 것이 있어서(有在而) 미칠 겨를이 없다(不暇及也). 敏於事而愼於言,(민어사이신어언) 일에 민첩하고(敏於事而) 말에 신중하고(愼於言), 敏於事者, 勉其所不足. 愼於言者, 不敢盡其所有餘也. 일에 민첩한 것은(敏於事者), 자기가 부족한 것을 힘쓰는 것이다(勉其所不足). 말에 신중한 것은(愼於言者), 감히 남음이 있는 것을 다하지 않는 것이다(不敢盡其所有餘也).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도를 가진 사람에..
2024. 2. 23.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3] 약속이 의에 가까우면... / 신근어의(信近於義)
有子曰: "信近於義, 言可復也.(신근어의 언가복야) 《復, 猶覆也. 義不必信, 信非義也. 以其言可反覆, 故曰近義.》 有子曰: "약속이(信) 의에 가까우면(近於義), 말을(言) 반복할 수 있다(可復也). 《복은(復), 되풀이함과 같다(猶覆也). 의로운 것은(義) 약속을 지킬 필요가 없고(不必信), 약속을 지키는 것이(信) 의가 아니다(非義也). 그 말을(以其言) 반복할 수 있고(可反覆), 그러므로(故) 의에 가깝다고 했다(曰近義).》 恭近於禮, 遠恥辱也.(공근어례 원치욕야) 《恭不合禮, 非禮也. 以其能遠恥辱, 故曰近禮也.》 恭近於禮, 遠恥辱也. 《공손함이(恭) 예에 맞지 않으면(不合禮), 예가 아니다(非禮也). 그것으로(以其) 치욕을 멀리할 수 있고(能遠恥辱), 그러므로(故) 예에 가깝다고 했다(曰近禮也)..
2024. 2. 22.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3] 약속이 마땅함에 가까우면... / 신근어의(信近於義)
有子曰: “信近於義, 言可復也;(신근어의 언가복야) 有子曰: “약속이(信) 의에 가까우면(近於義), 말을(言) 실천할 수 있고(可復也); * 於(어)는 '~에, ~에서'란 뜻으로 시발점을 표시하는 전치사이고, 也(야)는 판단 또는 진술의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조사다. 信, 約信也. 義者, 事之宜也. 신은(信), 약속이다(約信也). 의는(義者), 일의 마땅함이다(事之宜也). 복은(復), 말을 실천하는 것이다(踐言也). 恭近於禮, 遠恥辱也;(공근어례 원치욕야) 공경함을 이루어(恭) 예에 가까우면(近於禮), 치욕을 멀리할 수 있고(遠恥辱也); ○ 恭, 致敬也. 禮, 節文也. ○ 공은(恭), 공경함을 이루는 것이다(致敬也). 예는(禮), 등급과 꾸밈이다(節文也). * 致敬(치경): 존경(尊敬)하는 뜻을 표(表)함..
2024. 2. 21.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2] 예와 악이 서로 조화를 이뤄야 한다 / 예지용 화위귀(禮之用 和爲貴)
有子曰: "禮之用, 和爲貴.(예지용 화위귀) 先王之道, 斯爲美.(선왕지도 사위미) 小大由之, 有所不行.(소대유지 유소불행)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지화이화 불이례절지 역불가행야) 《馬曰: "人知禮貴和, 而每事從和, 不以禮爲節, 亦不可行."》 유자가 말하길(有子曰): "예의 쓰임은(禮之用), 조화를 귀하게 여긴다(和爲貴). 선왕의 도는(先王之道),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다(斯爲美). 크고 작은 것이(小大) 이것을 따르지만(由之), 행해지지 않는 것이 있다(有所不行). 조화만을 알아서(知和而) 조화만 추구하고(和), 예로써 절제하지 않으면(不以禮節之), 또한(亦) 행할 수 없다(不可行也)." 《馬曰: "사람들이(人) 예가 조화를 귀하게 여기는 것을(禮貴和) 알아서(知, 而) 모든 일이(每事) 조..
2024. 2. 20.
[중용장구(中庸章句) 인개왈여지장(⼈皆⽈予智章) 7] 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은 지혜롭지 못하다 / 불능기월(不能期月)
子曰: “人皆曰予知, 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 而莫之知辟也.(인개왈여지 구이납저고확함정지중 이막지지피야) 子曰: “사람들이(人) 모두 말하길(皆曰) 나(자신)는 지혜롭다고(予知) 하지만, 몰아서(驅而) 그물이나 덫, 함정 가운데로 들어가게 하면(納諸罟擭陷阱之中, 而) 누구도(莫之) 피할 줄 알지 못한다(知辟也). 罟, 網也. 擭, 機檻也. 陷阱, 坑坎也. 皆所以掩取禽獸者也. 고는(罟), 그물이다(網也). 확(擭)은, 덫이다(機檻也). 함정은(陷阱), 구덩이다(坑坎也). 모두(皆) 날짐승과 들짐승을(禽獸) 덮쳐서 사로잡는 것이다(所以掩取者也). 人皆曰予知, 擇乎中庸, 而不能期月守也.”(인개왈여지 택호중용 이불능기월수야) 사람들이 모두(人皆) 말하길(曰) 나(자신)는 지혜롭다고 하지만(予知), 중용을 택해서(擇..
2024. 2. 18.
[중용장구(中庸章句) 순호문장(舜好問章) 6] 백성에게 중용을 쓰는 순 임금 / 집기양단(執其兩端)
子曰: “舜其大知也與!(순기대지야여) 舜好問而好察邇言,(순호문이호찰이언) 子曰: “순 임금은(舜) 아마도(其) 크게 지혜로웠을 것이다(大知也與)! 순 임금은(舜) 묻기를 좋아하고(好問而) 하찮은 말 살피기를 좋아했고(好察邇言), * 邇言(이언): 평범한 말, 邇(가까울 이) 자는 辵(쉬엄쉬엄 갈 착)과 爾(너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언(邇言)은 경청의 태도를 말한다. 舜之所以爲大知者, 以其不自用而取諸人也. 邇言者, 淺近之言, 猶必察焉, 其無遺善可知. 순 임금이(舜之) 크게 지혜로운 사람이 된(爲大知者) 까닭은(所以), 그가(其) 마음대로 쓰지 않고(不自用而) 다른 사람의 에서 취했기(取諸人) 때문이다(以也). 이언이란(邇言者), 깊은 맛이 없는 말이지만(淺近之言), 오히려(猶) 반드시(必) 살피고(..
2024. 2. 17.
[논어주소(論語注疏) 학이(學而) 1-11] 3년 동안 아버지의 도를 지킨다 / 삼년무개(三年無改)
子曰: "父在觀其志, 父沒觀其行,(부재관기지 부몰관기행) 孔曰: "父在, 子不得自專, 故觀其志而巳. 父沒乃觀其行."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孔曰: "孝子在喪, 哀慕猶若父存, 無所改於父之道." 子曰: "아버지가 계시면(父在) 그 뜻을 보고(觀其志), 아버지가 돌아가시면(父沒) 그 행실을 보고(觀其行),(부재관기지 부몰관기행) 《孔曰: "아버지가 계시면(父在), 아들이(子)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고(不得自專), 그러므로(故) 그 뜻을 볼 뿐이다(觀其志而巳). 아버지가 돌아가시면(父沒) 이에(乃) 그 행실을 본다(觀其行)."》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孔曰: "효자가(孝子) 상중에 있으면(在喪), 슬퍼하고 그리워하는 것이(哀慕) 오히려(猶)..
2024. 2. 16.
[논어집주(論語集注) 학이(學而) 1-11] 어찌하면 효도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 관기지 관기행( 觀其志 觀其行)
子曰: “父在, 觀其志; 父沒, 觀其行;(부재 관기지 부몰 관기행) 子曰: “아버지가 살아 계시면(父在), 그 뜻을 보고(觀其志); 아버지가 돌아가시면(父沒), 그 행동을 보고(觀其行); ○ 父在, 子不得自專, 而志則可知. 父沒, 然後其行可見, 故觀此足以知其人之善惡. ○ 아버지가 계시면(父在), 아들이(子) 홀로 마음대로 할 수 없지만(不得自專, 而) 뜻은 알 수 있다(志則可知).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서(父沒, 然後) 그 행동을 볼 수 있고(其行可見), 그러므로(故) 이것을 보면(觀此) 그 사람의 선악을 알 수 있다(足以知其人之善惡).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삼 년 동안(三年) 아버지의 도를 바꾸지 않으면(無改於父之道), 효라고 할 수 있다(可謂孝矣).”라고 했다. 然..
2024. 2. 16.